原 文 : 我皆令入 無餘涅槃 而滅度之 如是滅度 無量 無數無邊衆生 實無衆生 得滅度者 原 文 : 我皆令入 無餘涅槃 而滅度之 如是滅度 無量 無數無邊衆生 實無衆生 得滅度者 [解 義] 이렇게 각양각색 각종의 모든 중생의 수는 실로 무량무수이어서 한강모래의 천만억배나 되는 그런 모래 수의 몇억 제곱보다도 훨씬 더 많습니다. 그 많은 중생들을 「아개영입 무여열반(我皆.. 청담큰스님의 금강경 2015.09.02
原 文 : 所有一切衆生之類 若卵生 若胎生 若濕生 若化生 若有色 若無色 若有想 若無想 若非有想 若非無想 原 文 : 所有一切衆生之類 若卵生 若胎生 若濕生 若化生 若有色 若無色 若有想 若無想 若非有想 若非無想 [解 義] 「소유일체 중생지류」(所有一切 衆生之類)란 광대무변한 우주에 무수한 중생들이 살고 있음을 말합니다. 그 많은 중생들은 그 종류와 수가 많아서 사람·벌레·물고기·.. 청담큰스님의 금강경 2015.09.01
原 文 : 佛告須菩提 諸菩薩摩訶薩 應如是降伏其心 原 文 : 佛告須菩提 諸菩薩摩訶薩 應如是降伏其心 [解 義] 부처님께서 수보리존자에게 「이와 같이 마음을 가지고(應如是住) 이와 같이 번뇌망상을 항복받으라(降伏其心)」하신 <이와 같이>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말씀하시려는 차례입니다. 보살마하살(菩薩摩訶薩)이란 말이 많이 나.. 청담큰스님의 금강경 2015.08.31
原 文 : 佛告須菩提 諸菩薩摩訶薩 應如是降伏其心 原 文 : 佛告須菩提 諸菩薩摩訶薩 應如是降伏其心 [解 義] 부처님께서 수보리존자에게 「이와 같이 마음을 가지고(應如是住) 이와 같이 번뇌망상을 항복받으라(降伏其心)」하신 <이와 같이>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말씀하시려는 차례입니다. 보살마하살(菩薩摩訶薩)이란 말이 많이 나.. 청담큰스님의 금강경 2015.08.30
第三 大乘正宗分--대승불교의 진수 第三 大乘正宗分--대승불교의 진수 [科 解] 대승정종분 제삼(大乘正宗分第三)이라 함은 대승의 골수를 말하는 제삼장이란 뜻입니다. 대승불교(大乘佛敎), 소승불교(小乘佛敎)하는데 소승불교는 자기 하나만 열반(涅槃)을 얻어 가지고 이 세상에 근심, 걱정 없이 나 홀로 편안하게 지내는 .. 청담큰스님의 금강경 2015.08.29
大乘正宗分 第三 大乘正宗分 第三 佛告(불고)--須菩提(수보리)하사되 諸菩薩摩訶薩(제보살마하살)이 應如是降伏其心(응여시항복기심)이니 所有一切衆生之類(소유일체중생지류)--若卵生(약란생) 若胎生(약태생) 若濕生(약습생) 若化生(약화생) 若有色(약유색) 若無色(약무색) 若有想(약유상) 若無想(약무.. 청담큰스님의 금강경 2015.08.28
먼저 올바른 발심을 먼저 올바른 발심을 <아뇩다라삼먁삼보리>를 성취하면 그렇겠다, 내 마음이 본래 부처라 하는 것을 똑 바로 알고 들어가야 갑니다. 그러니 먼저 정신(正信) 성취가 되어야 합니다. 아직 내가 법을 체득하지 않았지만 그럴 수 있겠다고 믿는 것이 신심인데 그 신심에 사신(邪信)이 있고 .. 청담큰스님의 금강경 2015.08.27
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세 단계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세 단계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(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)하라는 말을 줄이면 발보리리심(發菩提心)하라는 넉 자로 되고 이것을 더 줄이면 발심(發心)하라는 두 자로 됩니다. 아뇩다라삼먁삼보리도, 보리도 다 깨달은 마음자리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입니.. 청담큰스님의 금강경 2015.08.26
발심한 이의 마음가짐 발심한 이의 마음가짐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대한 발심을 한 사람은 누가 죽여도 죽지 않고 매를 때려도 가만히 맞고 있을 뿐 대항이 없지만 안 죽습니다. 일본에 백은선사(白隱禪師)라는 거룩한 스님이 있는데 지금 한국에도 그보다 더 거룩한 노장이 살아 계십니다. 지리산(智異山)에 .. 청담큰스님의 금강경 2015.08.25
이것만이 현대의 구세주 이것만이 현대의 구세주 마음을 깨치면 전 우주에 모르는 것이 하나도 없고(全知), 모든 근심걱정 다 떨어내고 일체를 다 포기하여 완전한 자유와 완전한 즐거움을 얻습니다(全能). 그래서 모르는 세상을 바로 깨우쳐 주고 중생을 바른 길로 이끌어 누구에게나 모든 고통을 해탈할 수 있.. 청담큰스님의 금강경 2015.08.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