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담큰스님의 금강경

原 文 : 須菩提言 甚多世尊 何以故 是福德 卽非福德性 是故 如來說福德多

如明 2015. 11. 5. 07:57

原 文 : 須菩提言 甚多世尊 何以故 是福德 卽非福德性 是故 如來說福德多

[解 義]

『삼천대천세계에 가득 찬 칠보를 가지고 보시를 해서 많은 중생들을 잘 살게 해준 복덕이 얼마나 많겠느냐?』고 부처님께서 물으시는 말씀에 대해, 수보리존자는 이렇게 사뢰었습니다. 『참 많습니다. 기가 막히게 복이 많을 것입니다(甚多). 세존이시여! 제가 많다고 말씀드리는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. 이 금은 칠보를 대천세계에 가득 채워 가지고 나누어 주자면 아무래도 한해 두해가 걸려도 못 나눠 줄 것입니다. 그러니 여러 몇 만년 안 죽고 살아가지고 끝없이 많이 보시하고 내가 죽어 다시 태어나서 또 보시하고 하여 천생 만생해도 다 못 나눠 줄 정도이니 그렇게 복만 지으면 대단할 수밖에 없습니다.』 찬물 한 그릇 떠주고 큰 부자되는 사람도 있습니다. 찬물 한 그릇이 사람 살리는 수도 있고 평생 잊을 수 없는 그런 찬물이 있습니다. 밥 한 그릇 가지고도 그럴 수도 있는데 엄청나게 복을 많이 진 이런 사람의 복이야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?

저렇게 큰 복을 엄청나게 많이 지었으니 가령 억만겁 드나들면서 전 세계 화폐를 혼자 다 차지할만한 그런 복을 지은 사람이라 할 것입니다. 그런 큰 복을 지어 놓으면 제가 돈을 일일이 벌어 쓰는 게 아닙니다. 자기한테 신세 진 사람들이 형제·부모되어 가지고 다 돈 벌어 놓으면 그런 집에 태어나 돈 공짜로 막 씁니다. 가령 상속법이 없다 하더라도 그런 재산이 또 돌아오고 복을 지어 놓으면 설사 돈을 쫒아 내 버려도 쫒아 낼 수 없이 소낙비 오듯이 막 퍼부어 밀려옵니다. 무엇을 해도 엎어지나 자빠지나 잘됩니다. 반대로 복을 못 지어 놓으면 엎어져도 뒤통수가 깨지고 안 되는 사람은 온 시민이 도와 줘도 안 되고 대통령이 따라 다니며 밀어 줘도 그것 때문에 병이 나서 죽습니다. 그 돈이 없어질 때까지 병이 납니다. 배가 아프고 온갖 데가 다 아픕니다. 또 돈이 떨어지면 병이 낫습니다. 진주 논산이란 곳에 농사를 스물다섯 섬을 하는 사람이 있는데 아는 것도 많고 똑똑해서 친구들이 돈을 막 대줍니다. 그런데 양식을 스물다섯 섬만 사 놓으면 마누라가 앓든지 자식이든지 부모든지 병이 납니다. 스물다섯 섬을 다 잘라 먹어야 병이 낫습니다. 그래서 스물다섯 번을 스물다섯씩 해 봤습니다. 동네에서는 하도 신용 있고 부지런하고 똑똑하니 자주 뒤를 대주고 나중에는 장사 밑천도 대 주어 그래서 또 장사를 하고 돈 모으느라 애를 쓰고 그러는데 그러면 꼭 병이 나고 그럽니다. 그래서 할 수 없이 그날그날 벌어먹고 살다 죽는 그런 사람도 있습니다.

『그런데 여래께서 이 사람에게 복이 한 없이 많다고 하시는 데는 참 이유가 있습니다(是福德). 그것은 이런 물질적 복덕은 복덕의 성품이 아니기 때문이옵니다(卽非福德性). 그래서 부처님께서는 그것 참 복덕이 많다고 말씀하신 것이옵니다(是故如來說福德多).』이렇게 말씀하시는 수보리존자의 뜻은 무엇인가.

수보리존자는 40년 동안이나 부처님 따라 다니며 법문을 들어 다 아시지만 그러나 지금 세상의 우리는 좀처럼 그 뜻을 해득(解得)하기 어렵습니다. 여기서 복덕성(福德性), 곧 복덕의 성품이라고 한 것은 마음을 가리킵니다. 마음은 곧 복덕을 지을 수 있는 주체성(主體性)이고 성품이 되므로 <복덕성>이라 한 것입니다. 재물을 아무리 많이 보시(布施)했다 하더라도 그것은 결국 한계가 있고 끝이 있는 상대적 복 밖에 되지 않습니다. 그러니 십억세계에다 칠보를 가득 채워서 그것을 여러 수천 만년을 두고 보시를 하면 복이 많긴 많지만 마음 깨쳐 우주 전체를 깨치는 것에 비하면 태평양 가운데 물방울 하나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. 그런데 왜 많다고 했느냐 하면 그것은 불보살의 경계에서는 복이 많다는 말은 곧 복이 적다는 소리가 되기 때문이고, 정말 큰 것은 크다고 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. 크다는 말은 작은 것을 상대로 해서 성립되는 말이고 이것보다 작은 저것하고 비교해서 이게 크다는 말이 됩니다. 사바세계 중생들은 복덕이 아주 작기 때문에 그런데 비교하면 크다고 할 수 있지만 극락세계(極樂世界)나 불보살세계의 복력(福力)에 비교 한다면 삼천대천세계의 칠보 아니라 그것 몇 억만배의 복으로 비교한다 하더라도 견주어 볼 가치조차도 없게 됩니다. 그것은 이 마음자리인 성품의 깨달음이 아니기 때문입니다. 복덕 지을 수 있는 마음자리, 곧 복덕의 근본자리인 이 마음은 물질도 허공도 생각도 지식도 신앙도 많은 것도 적은 것도 아닌데, 그게 깨끗이 살아 있으니 거기 들어서서 원대복귀하면 우주 전체가 <나>입니다. 허공도 현상계도 나고 내 마음에 그게 다 나타난 것입니다. 「복덕을 지을 수 있는 이 마음은, 곧 복덕성은 우주 전체를 차지하는 것인데 그까짓 십억세계 한두 개 차지해 봤자 그게 얼마나 되겠느냐?」 그런 뜻입니다.

이런 때는 뜻이 참 어렵습니다. 큰 대학자끼리 만나서 40년이나 불법을 들었으므로 이렇게만 얘기해도 알아들었지만 지금처럼 불교에 대한 기초도 없는데 이런 말을 내 놓아 봤자 깜깜합니다. 「이 사람 복덕이 많으냐 안 많으냐?」 「네, 많습니다. 복덕성이 아니기 때문에 여래는 복덕이 많다고 하셨습니다.」 이렇게 말로만 따라다니면 무슨 말인지 말이 안되고 날마다 금강경을 봐야 뭘 설명한 것인지 평생 해도 모릅니다. 「이 복덕은 주체성이 아니기 때문에, 많다 적다하는 것을 초월한 마음을 깨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래서 부처님께서도 이 사람 복이 참 많다고 하셨습니다.」 이렇게 새겨야 그 뜻이 풀어집니다.